본문 바로가기
건강

경구혈당강화제(Oral Hypoglycemia Agent; OHA)에 대하여1

by PA지킴이 2024. 9. 21.

경구 혈당 강화제는 2형 당뇨병에 대해 혈당치를 정상화시킴으로써 만성 합병증의 위험을 경감시키는 목적으로 처방되는 약물의 총칭입니다. 

 

당뇨병에 사용되는 약물은 혈액 내 포도당 수치를 낮춰 당뇨병을 치료합니다. 인슐린, 대부분의 GLP-1 수용체 작용제(liraglutide, exenatide 등) pramlinitide를 제외한 모든 당뇨병 약물은 경구로 투여되므로 경구 저혈당제 또는 경구 항고혈압제라고 하며, 당뇨병의 특성, 연령 및 환자의 상황,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형 당뇨병

1형 당뇨병은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며, 인슐린은 1형 당뇨병의 주요 치료제이며 일반적으로 피하 주사를 통해 투여됩니다.

2형당뇨병

2형 당뇨병은 가장 흔한 유형의 당뇨병 이며, 세포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질환입니다. 치료법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양을 늘리고, 표적 기관의 인슐린 민감도를 높이고, 위장관에서 포도당이 흡수되는 속도를 줄이고, 소변을 통해 포도당 손실을 늘리는 약제가 포함됩니다.

당뇨병
당뇨병

당뇨병 약물에 대한 메커니즘

첫번째, 인슐린 감작으로 세포에 대한 인슐린 수용체의 민감도가 증가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하고 인슐린이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집니다.
두번째, 베타 세포 자극으로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킵니다.
셋째,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억제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효소를 억제하면 위장관에서 포도당이 흡수되는 속도가 감소합니다.
넷째, SGLT2 억제로 나트륨-포도당 수송 단백질 2(SGLT2)의 억제는 네프론의 세뇨관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감소시켜 소변으로 배설되는 포도당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인슐린 증감제(Insulin sensitizers)- 인슐린 저항성을 해결

비구아나이드(Biguanides) - metformin

비구아나이드(Biguanides)는 간의 포도당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골격근을 포함한 말초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며,  간이나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비구아나이드 계열인 메트포르민(Glucophage) 은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1차 약물이며, 어린이와 청소년의 제2형 당뇨병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제이며,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유일한 널리 사용되는 경구 약물이며,  또한 다른 경구용 당뇨병 약물과 병용하여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metformin(glucophage)은 심부전, 신부전이 있는 환자에게 정맥 요오드화 조영제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절차 전에는 환자가 젖산증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합니다.

 

메트포르민의 혈당 기대 효과로 당화혈색소(A1C) 수치의 일반적인 감소는 1.5~2.0%입니다.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s: TZD) - Lobeglitazone

 포도당과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 핵 조절 단백질의 일종인 퍼옥시좀 증식자 활성화 수용체 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인 PPARγ에 결합합니다. 이러한 PPAR은 PPRE(peroxisome proliferator Response Element)에 작용합니다. PPRE는 인슐린 의존성 효소의 mRNA 생성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유전자에 영향을 미칩니다.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와 세포에서 당을 많이 사용하도록 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