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농양은 고름(pus)과 괴사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단독,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cavity diameter가 >2cm로 특징지어 진다.
1차성(primary lung abscess)으로 흡인, 혐기성 세균, 전신적 문제 없이 기저 호흡기가 있고, 2차성(secodary lung abscess)는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post obstructive process, HIV 감염, 면역저하 상태 등 전신질환이 있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폐농양의 원인
의식저하 상태, 알코올 중동, 약물과다복용, 경련 등으로 흡인이나 식도협착이나 종양 esophageal dysmotility, 위식도 역류질환 등 섬모 운동의 감소가 있으며, 혐기성균 또는 미호기 성균의 치주염, 치주 질환의 세균감염이 있을 수 있다.
주로 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감염으로, 흔히 intravenous druguser에서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침술 이후 발생한 cellulitis가 focus가 되어 septic emboli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임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 소견
증상으로 70-80%의 발열, 오한, 썩는 냄새가 나는 화농성 객담, 기침이 있을 수 있으며, 50% 의 객혈(hemoptysis), 체중감소, 만성 질환으로 인한 빈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학적 소견으로 청진 시 폐렴 소견과 유사하며 호흡음 감소 시 lung consolidation 또는 effusion 의심 되며, 악성음, 구강검사를 통한 치주염 등에 대한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진단
흉부 X선에 air-fluid level이 있는 공동성 병변을 관찰할 수 있으며 lateral view에서 호발부위에 발생하는 공동성 병변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폐농양 위치 및 주변 조직과의 관계를 잘 확인 할 수 있게 하는 검사로 주로 단순 흉부 사진상 확실하지 않거나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항생제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 또는 기도 폐쇄로 인한 폐농양이 의심되어 기도폐쇄를 유발하는 원인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흉부CT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객담 배양 검사를 통한 원인균(혐기성균)의 증명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며 transtracheal aspiration 을 이용한 검사가 이용되기도 하지만, 시술 과정 중의 감염 문제로 인한 오류의 가능성 때문에 잘 시행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기도 폐쇄를 일으킬 만한 악성종양이나 이물질이 의심되는 경우, 기관지 내시경으로 이물질 제거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감수성 검사에 근거하여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체위 배액 도중 감염성 분비물이 다른 기관지로 통해 흡인되거나 기도를 폐쇄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기관지 내시경은 적절한 배액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종양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며, 다른 분절로 감염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적으로 절제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인성 폐렴(Aspiratio pneumonia)에 대한 진단,원인,치료 (1) | 2024.09.10 |
---|---|
알레르기 검사에 대하여 (0) | 2024.09.10 |
Arterial blood gas test (ABGA) 목적,정상범위,주의사항 (0) | 2024.09.09 |
기관지염(bronchitis) 에 대한 진단, 치료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9.07 |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0) | 2024.09.06 |